문명 속에 수학 이야기 (54) 썸네일형 리스트형 고대 이집트와 고대 중국 수학자 조충지의 π 원주율 ( pi ) 이야기 고대 중국 수학자인 조충지의 원과 원주율 이야기와 고대 이집트의 린드 파피루스에 적힌 원주율에 대해 알아볼까요? 우선 아메스가 쓴 린드 파피루스에 대해 알아보아요. 아메스의 린드 파피루스 고대 이집트 우리에게 유명한 린드 파피루스는 고대 이집트 수학 체계를 정리한 파피루스 중 하나에요. 1858년 룩소르 근처에서 파피루스를 구입한 알렉산더 헨리 린드의 이름을 따서 "린드 파피루스"라고 이름이 붙여졌어요. 라메세움 근처에 불법 발굴되었다고 알려졌고 약 기원전 1550년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어요. 대부분의 파피루스는 대영박물관에서 소장 중이고 일부분만 브루쿨린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어요. 고대 이집트의 필경사인 아메스가 적었다고 알려져 있어요. 적혀진 글자는 신관문자로 쓰여져 있답니다. 고.. 무한대를 본 남자의 주인공 천재 수학자 라마누잔의 매직넘버 1729 영화 '무한대를 본 남자'의 주인공 스니리바사 라마누잔 그의 스승 '고드프리 해럴스 하디'와 같이 발견한 유명한 수 "1729"를 소개하려 합니다. 우리에게 택시 넘버로 알려진 '1729'는 라마누잔이 교통사고로 병원에 입원을 했을 당시 하디가 병문안을 가면서 탄 택시 번호를 가지고 얘기한 일화로 유명해졌죠. 우리에게는 tvn 드라마로 알려진 "멜랑꼴리아"에 남주인공 이도현 배우가 입고 다니는 옷에 쓰인 숫자로 유명해졌어요. 지금 넷플릭스에 다시 방영하고 있어 많은 분들이 보시고 1729의 뜻을 알거라 생각해요. 엄청난 천재이기도 하지만 세상의 모든 것에 관심을 두고 기록하는 모습이 인상깊었던 수학자여서 더욱 기억이 많이 남습니다. 택시 넘버로 알려진 1729의 뜻을 보기 편하게 영상으로 만들었.. 유클리드 알고리즘과 선형 디오판토스 방정식의 일반해 유클리드 알고리즘과 선형디오판토스방정식의 일반해 네덜란드의 수학자이자 역사가인 Bartel Leendert van der Waerden 은 피타고라스 학파의 수학자들이 쓴 정수론(number theory) 교과서에서 유클리드 알고리즘이 유래했다고 제안하죠. 이 알고리즘은 크니도스(cnidus)의 Eudoxus(bc 375)에 의해 알려졌을 겁니다. 유클리드와 아리스토텔레스도 ἀνθυψαιρεσις(anthyphairesis)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을 보면 에우독소스 이전에 알려졌을 수도 있습니다. ax+by=c (where a, b and c are given integers) 이 디오판토스 방정식은 c가 a와b의 최대공약수의 배수인 경우에만 해(where x and y are integers)를 갖습니다.. 유클리드 알고리즘과 모듈로 연산 그리고 연분수(basic) 유클리드 알고리즘 분모가 정수와 분수의 합으로 연달아 표기되는 분수. 일반적으로 유리수는 두 정수의 비로 나타낼수 있고, 무리수는 그럴 수 없죠. 연분수라는 특수한 분수를 사용하면 무리수도 분수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유클리드호제법의 모듈로 연산을 구체적으로 보고 연분수도 만들어 보겠습니다. 유클리드 알고리즘의 확장과 디오판토스 방정식의 풀이를 위한 선결과정이므로 잘 익혀두시기를 권합니다. 최대한 이해하실 수 있도록 설명해봤습니다. 한국에서는 대학 과정에 포함 하지만 미리 익혀놓으시면, 수학을 이해하고 활용하시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https://youtu.be/S9HBiAFggSY #수학사 #유클리드알고리즘 #연분수 #Modulo operation #modular arithmetic 루이스 캐롤이 인정한 피타고라스와 유클리드의 호제법 Algorithm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 루이스 캐롤 강태공math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를 쓴 작가 루이스 캐롤은 영국의 작가이자 시인이었고 수학자인 Charles Lutwidge Dodgson이에요. 우리가 알고 있는 루이스 캐롤은 필명이었다고 해요. 루이스 캐롤이 특히 피타고라스 업적 중 모두가 아는 '피타고라스 정리'를 극찬했어요. 모두가 아는 '피타고라스 정리' 말고 피타고라스가 음정, 음계에 대해 이론을 정리한 걸 아시는 분은 많지 않은것 같아서 문명과 수학 5편에서 '피타고라스 학파' '음정이론' '직각삼각형' 등을 영상에 담았어요. 전체적으로 다루다 보니 '음정이론'을 자세히 얘기하는 영상을 하나 만들고 싶었는데 이번에는 '유클리드의 호제법'과 같이 설명을 넣었어요. 피타고라스가 대장간을 .. 원과 원주율 π pi 의 역사 1편 - 원과 같은 넓이의 정사각형의 작도 원주율 π pi의 날이 있다는 거 아시나요? 일본의 제과 회사에서 만든 이벤트인 '화이트 데이' 3월 14일이 사실 파이데이라고 합니다. 3월 14일을 원주율 π pi가 3.1415926...임을 기념하기 위하여 수학자들이 이름을 붙였다고 해요. 미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 π-club'이라는 모임에서는 3월 14일 오후 1시 59분 26초에 모여 π pi모양의 파이를 먹으며 이 날을 축하한다고 해요. 그리고 π pi값 외우기, π pi에 나타나는 숫자에서 생일 찾아내기 같은 게임과 원과 관련된 놀이기구의 길이, 넒이, 부피 구하기 등의 퀴즈 대회를 연다고 해요. 이런 특별한 날까지 있는 π pi의 역사를 역사 속 나라에서는 원을 어떻게 나타냈는지 알아보고.. 고대 이집트인들의 매듭지은 밧줄을 활용한 쿠푸 피라미드 만들기 #maths https://youtube.com/shorts/0ZLi0IV6H7s?feature=share 나일강 계곡을 따라 메소포타미아에서 남서쪽으로 800km떨어진 지점 이곳에서 인류 역사상 두번째로 위대한 고대 문명! 비록 바빌로니아의 clay tablet에 비해 쉽게 망가지는 파피루스를 사용했지만, 건축물에서는 진흙과 모래로 건설된 바빌로니아의 건축물과 달리 돌로 된 피라미드를 만들었습니다. 그들은 어떻게 높이가 148m나되는 정사각뿔의 기자 피라미드를 만들 수 있었을 까요? 여기에서는 피타고라스 삼중쌍(3,4,5)을 이용한 고대 오리엔트 문명의 매듭지은 밧줄에 대해 이야기를 합니다. (The story of science) 에서 joy hakim은 이집트인들 피타고라스 정리를 사용 했었을 거라고 이야기합니.. 알렉산드리아의 베스트 셀러 Elements 문명과 수학 7편 shorts https://youtube.com/shorts/DGk2KdN2KjI?feature=share 고대 아테네의 숲 속에 그들의 수호신인 "아폴론 리케이오스"를 기리기 위해 "리케이온"을 세웠어요. 그 뜻을 이어 받아 아리스토텔레스는 자신의 학파인 "소요학파" 또는 아리스트텔레스가 학도들과 강의하고 논의한 페리파토스 즉, 산책길에서 유래되어 "페리파토스학파"라고 불리는 자신의 학파를 그 곳에 세웠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살아있는 동안은 "리케이온"은 학교로 운영되었다고 해요. 이 유명한 아리스토텔레스가 플라톤의 제자라는 사실을 알고 계시나요? 플라톤의 영향을 받은 아리스토텔레스는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였고 학문 전반에 걸칠 백과전서적 학자로서 과학 부문의 기초를 쌓고 논리학을 창시했어요. 아리스토텔레스는 업적.. 이전 1 2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