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클리드 알고리즘
분모가 정수와 분수의 합으로
연달아 표기되는 분수.
일반적으로 유리수는
두 정수의 비로 나타낼수 있고,
무리수는 그럴 수 없죠.
연분수라는
특수한 분수를 사용하면
무리수도
분수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유클리드호제법의 모듈로 연산을
구체적으로 보고
연분수도
만들어 보겠습니다.
유클리드 알고리즘의 확장과
디오판토스 방정식의 풀이를
위한 선결과정이므로
잘 익혀두시기를 권합니다.
최대한 이해하실 수 있도록 설명해봤습니다.
한국에서는 대학 과정에 포함 하지만
미리 익혀놓으시면,
수학을 이해하고 활용하시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수학사 #유클리드알고리즘 #연분수 #Modulo operation #modular arithmetic
728x90
반응형
'문명 속에 수학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한대를 본 남자의 주인공 천재 수학자 라마누잔의 매직넘버 1729 (3) | 2023.12.30 |
---|---|
유클리드 알고리즘과 선형 디오판토스 방정식의 일반해 (2) | 2023.12.26 |
루이스 캐롤이 인정한 피타고라스와 유클리드의 호제법 Algorithm (0) | 2023.12.23 |
원과 원주율 π pi 의 역사 1편 - 원과 같은 넓이의 정사각형의 작도 (2) | 2023.12.20 |
고대 이집트인들의 매듭지은 밧줄을 활용한 쿠푸 피라미드 만들기 #maths (0) | 2023.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