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44)
Euclidean algorithm, modulo operation, and continued fractions (basic) Euclidean algorithm, modulo operation, and continued fractions (basic) A fraction whose denominator is written as the sum of an integer and a fraction. In general, rational numbers can be expressed as the ratio of two integers, Irrational numbers can't do that. Irrational numbers can also be expressed as fractions by using special fractions called continuous fractions. Let's look at the Euclidea..
유클리드 알고리즘과 모듈로 연산 그리고 연분수(basic) 유클리드 알고리즘 분모가 정수와 분수의 합으로 연달아 표기되는 분수. 일반적으로 유리수는 두 정수의 비로 나타낼수 있고, 무리수는 그럴 수 없죠. 연분수라는 특수한 분수를 사용하면 무리수도 분수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유클리드호제법의 모듈로 연산을 구체적으로 보고 연분수도 만들어 보겠습니다. 유클리드 알고리즘의 확장과 디오판토스 방정식의 풀이를 위한 선결과정이므로 잘 익혀두시기를 권합니다. 최대한 이해하실 수 있도록 설명해봤습니다. 한국에서는 대학 과정에 포함 하지만 미리 익혀놓으시면, 수학을 이해하고 활용하시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https://youtu.be/S9HBiAFggSY #수학사 #유클리드알고리즘 #연분수 #Modulo operation #modular arithmetic
Algorithm of Pythagoras and Euclid recognized by Lewis Carroll Lewis Carroll, author of Alice in Wonderland 강태공math Author of Alice in Wonderland Lewis Carroll He was an English writer and poet. mathematician This is Charles Lutwidge Dodgson. The Lewis Carroll we know They say it was a pen name. ​ Lewis Carroll especially Among Pythagoras' achievements Everyone knows the ‘Pythagorean theorem’ I highly praised it. ​ Not the ‘Pythagorean theorem’ that everyon..
루이스 캐롤이 인정한 피타고라스와 유클리드의 호제법 Algorithm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 루이스 캐롤 강태공math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를 쓴 작가 루이스 캐롤은 ​ 영국의 작가이자 시인이었고​ 수학자인 Charles Lutwidge Dodgson이에요. 우리가 알고 있는 루이스 캐롤은 필명이었다고 해요. 루이스 캐롤이 특히 피타고라스 업적 중 모두가 아는 '피타고라스 정리'를 극찬했어요. 모두가 아는 '피타고라스 정리' 말고 피타고라스가 음정, 음계에 대해 이론을 정리한 걸 아시는 분은 많지 않은것 같아서 문명과 수학 5편에서 '피타고라스 학파' '음정이론' '직각삼각형' 등을 영상에 담았어요. 전체적으로 다루다 보니 '음정이론'을 자세히​ 얘기하는 영상을 하나 만들고 싶었는데 이번에는 ​ '유클리드의 호제법'과 같이​ 설명을 넣었어요.​ 피타고라스가 ​ 대장간을 ..
History of circles and pi pi Part 1 - Drawing of a square with the same area as a circle Did you know that there is a day with the ratio of circumference π pi? ​ An event created by a Japanese confectionery company. ‘White Day’ March 14th It's actually called Pi Day. For March 14th, the pi pi is 3.1415926... ​ It is said that mathematicians gave it a name to commemorate it. ​ In a group called ‘π-club’ active in the United States, ​ Gathered on March 14th at 1:59:26 PM ​ It is said ..
원과 원주율 π pi 의 역사 1편 - 원과 같은 넓이의 정사각형의 작도 원주율 π pi의 날이 있다는 거 아시나요? ​ 일본의 제과 회사에서 만든 이벤트인 ​ '화이트 데이' 3월 14일이 사실 파이데이라고 합니다. ​ 3월 14일을 원주율 π pi가 3.1415926...임을 ​ 기념하기 위하여 수학자들이 이름을 붙였다고 해요. ​ 미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 π-club'이라는 모임에서는 ​ 3월 14일 오후 1시 59분 26초에 모여 ​ π pi모양의 파이를 먹으며 이 날을 축하한다고 해요. ​ 그리고 ​ π pi값 외우기, π pi에 나타나는 숫자에서 ​ 생일 찾아내기 같은 게임과 원과 관련된 놀이기구의 ​ 길이, 넒이, 부피 구하기 등의 퀴즈 대회를 연다고 해요. ​ 이런 특별한 날까지 있는 π pi의 역사를 ​ 역사 속 나라에서는 ​ 원을 어떻게 나타냈는지 알아보고..
고대 이집트인들의 매듭지은 밧줄을 활용한 쿠푸 피라미드 만들기 #maths https://youtube.com/shorts/0ZLi0IV6H7s?feature=share 나일강 계곡을 따라 메소포타미아에서 남서쪽으로 800km떨어진 지점 이곳에서 인류 역사상 두번째로 위대한 고대 문명! 비록 바빌로니아의 clay tablet에 비해 쉽게 망가지는 파피루스를 사용했지만, 건축물에서는 진흙과 모래로 건설된 바빌로니아의 건축물과 달리 돌로 된 피라미드를 만들었습니다. 그들은 어떻게 높이가 148m나되는 정사각뿔의 기자 피라미드를 만들 수 있었을 까요? 여기에서는 피타고라스 삼중쌍(3,4,5)을 이용한 고대 오리엔트 문명의 매듭지은 밧줄에 대해 이야기를 합니다. (The story of science) 에서 joy hakim은 이집트인들 피타고라스 정리를 사용 했었을 거라고 이야기합니..
Alexandria's best-selling Elements Civilization and Mathematics 7 shorts https://youtu.be/DGk2KdN2KjI Aristotle, known as Plato's disciple, ​ He founded Lykeion. ​ He founded logic. ​ Aristotle is famous for his many achievements. ​ At a time when Greek academic development was growing, ​ A war broke out with the Macedonian people in the north. ​ Don't lose. ​ In Civilization and Mathematics Part 7 ​ To show this war god in the intro ​ I paid a lot of attention. :) A..

728x90
반응형